반응형
proguard 는 retrace 라는 옵션을 사용 하면 복구가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당연히 해당 빌드에 생성된 mapping.txt 파일을 사용 해야 된다.
retrace.bat -verbose mapping.txt obfuscated_trace.txt
proguard 을 사용하면 Output 파일이 4개가 생긴다.
dump.txt
apk 파일 안에 있는 모든 클래스 파일의 구조를 설명하는 파일
mapping.txt
난독화되기 전과 난독화된 후의 클래스, 메소드 그리고 필드 이름을 연결시켜주는 맵핑 파일. 난독화된
릴리스 빌드 버전에서 발생한 버그 리포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이 꼭 필요하다.(제일 중요한 파일)
seeds.txt
난독화가 되지 않는 클래스, 메소드 그리고 필드들의 목록.
usage.txt
apk 파일에서 제거된 코드들의 목록들
반응형
'프로그램 > Progu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컴파일된 jar 파일 proguard 사용하기 (0) | 2013.11.20 |
---|